Chan Lee's Blog

Themed by ejjoo

  • Pages
  • Articles
  • About
  • Categories
  • CSAPP정리 11
  • Introduction to Algorithms(CLRS) 정리 6
  • 알고리즘, 자료구조 3
  • 공부한 내용 정리 2
  • 42-get_next_line 1
  • 42-ft_printf 1
  • 42-Born2beroot 3
  • 42-push_swap 1
  • 42-so_long 1
  • 42-pipex 4
  • 42-Philosophers 2
  • 알고리즘 문풀-백준 24
  • 클린코드 9
  • 머신러닝 5
  • 파이썬 2
  • 자바스크립트, 타입스크립트 7
  • 네트워크 12
  • 파이썬-Django(장고) 1
  • 자바 1
  • Docker, Docker-Compose 1
  • 테스트 코드 1
  • 계산이론,오토마타 5
  • 운영체제이론 5
  • Database 1

Powered by Jekyll

Articles
  • 2025/08/14 [OSTEP-Xv6-Lab] H4. Copy-on-write Fork 구현
  • 2025/08/12 [OSTEP-Xv6-Lab] H3. Intro to Virtual Memory
  • 2025/08/05 [OSTEP-Xv6-Lab] H2. Stride 스케쥴러
  • 2025/08/05 [OSTEP-Xv6-Lab] H1. 시스템 콜 추가
  • 2025/07/31 [CMU-DB] 01. Relational Model & Algebra
  • 2025/05/17 [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] Part 1 데이터 시스템의 기초
  • 2024/04/01 Node.js의 CommonJS, ESM 모듈 호환성
  • 2024/03/09 [OS Concepts] 5. CPU Scheduling
  • 2024/03/09 [OS Concepts] 4. Threads& Concurrency
  • 2024/03/02 [OS Concepts] 3. Processes
  • 2024/02/04 [OS Concepts] 2. Operating-System Structures
  • 2024/01/28 [OS Concepts] 1. Introduction
  • 2024/01/13 [네트워크이론] 3.4 Principles of Reliable Data Transfer
  • 2024/01/09 [TS] 'satisfies' 오퍼레이터
  • 2024/01/06 [네트워크이론] 3.3 Connectionless Transport: UDP
  • 2024/01/04 [네트워크이론] 3.2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
  • 2024/01/04 [네트워크이론] 3.1 트랜스포트 계층 서비스 및 개요
  • 2024/01/02 [네트워크이론] 2.6 비디오 스트리밍과 컨텐츠 분배 네트워크
  • 2024/01/01 [네트워크이론] 2.5 P2P 파일 분배
  • 2023/12/29 [네트워크이론] 2.4 DNS
  • 2023/12/29 [네트워크이론] 2.3 인터넷 전자메일
  • 2023/12/29 [네트워크이론] 2.2 웹과 HTTP
  • 2023/12/23 [네트워크이론] 2.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원리
  • 2023/12/22 [네트워크이론] 1.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
  • 2023/11/05 [계산이론] Equivalence of Deterministic and Nondeterministic Finite Accepteres
  • 2023/11/05 [계산이론] Nondeterministic Finite Accepter
  • 2023/11/05 [계산이론] Deterministic Finite Accepter
  • 2023/11/05 [계산이론] 오토마타 간략한 개념
  • 2023/11/03 [계산이론] Language, Grammars
  • 2023/10/30 유지보수하기 좋은 테스트 코드 작성
  • 2022/11/13 [Docker] 기본 Data Root Directory 변경하기
  • 2022/11/12 [Spring-Boot] properties 값 객체로 바인딩
  • 2022/09/29 [NestJS] 필터에서 다른 필터로 예외 전달하기
  • 2022/09/19 [TS] (실수 정리) 파라미터의 타입만 서로 다른 함수의 유니온
  • 2022/09/07 [TypeORM] 마이그레이션 커맨드 사용 가이드
  • 2022/06/22 신고 결과 받기
  • 2022/06/13 blur 이벤트 발생지가 window내부인지 외부인지 구분하기
  • 2022/05/02 [Django-Ninja] Generic 스키마 만들기
  • 2021/11/20 [HTTP기본지식] 인터넷 네트워크
  • 2021/11/02 [클린코드] 10. 클래스
  • 2021/10/30 [JS]Execution Context 기본 개념
  • 2021/10/27 [클린코드] 9장. Unit Test
  • 2021/10/22 with 구문의 효과
  • 2021/10/11 [클린코드] 7. 오류 처리
  • 2021/10/11 [Deep Learning Book] 5.6 Bayesian Statistics
  • 2021/10/10 [클린코드] 6. 객체와 자료구조
  • 2021/10/07 [Deep learning book] 5.5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
  • 2021/10/06 [클린코드] 5. 형식 맞추기
  • 2021/10/05 [Deep Learning Book] 5.4
  • 2021/10/01 logging 기초 사용법
  • 2021/09/26 [클린코드] 4. 주석
  • 2021/09/23 [클린코드] 3. 함수
  • 2021/09/19 [클린코드] 2. 의미 있는 이름
  • 2021/09/19 [Deep Learning Book] 5.3
  • 2021/09/15 [Deep learning book] 5.1 ~ 5.2
  • 2021/09/14 [클린코드] 1. 깨끗한 코드
  • 2021/08/23 쉘스크립트 부분
  • 2021/08/10 7662번: 이중 우선순위 큐
  • 2021/08/09 16928번: 뱀과 사다리 게임
  • 2021/08/09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대충 정리
  • 2021/08/09 11403번: 경로 찾기
  • 2021/08/09 11724번: 연결 요소의 개수
  • 2021/08/09 6064번: 카잉 달력
  • 2021/08/08 11727번: 2×n 타일링 2
  • 2021/08/08 11659번: 구간 합 구하기 4
  • 2021/08/08 9375번: 패션왕 신해빈
  • 2021/08/07 17219번: 비밀번호 찾기
  • 2021/08/06 14891번: 톱니바퀴
  • 2021/08/06 14890번: 경사로
  • 2021/08/05 3190번: 뱀
  • 2021/08/05 14889번: 스타트와 링크
  • 2021/08/05 14888번: 연산자 끼워넣기
  • 2021/08/04 14502번: 연구소
  • 2021/08/04 14500: 테트로미노
  • 2021/08/03 13458: 시험 감독
  • 2021/08/03 14496번: 주사위 굴리기
  • 2021/07/19 11726번: 2×n 타일링
  • 2021/07/18 9095번: 1, 2, 3 더하기
  • 2021/07/17 17626번: Four Squares
  • 2021/07/16 11723번: 집합
  • 2021/07/15 1620번: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
  • 2021/07/15 5525번: IOIOI
  • 2021/07/14 Mutex Locks && Semaphore
  • 2021/07/14 Race Condition과 Critical Section Problem
  • 2021/07/02 [CSAPP] 3.7 프로시져(procedures)
  • 2021/07/02 [CSAPP] 3.6 제어문
  • 2021/06/26 [CSAPP] 3.6 제어문
  • 2021/06/22 [CSAPP] 3.4 정보 접근하기 ~ 3.5 산술연산과 논리연산
  • 2021/06/22 [CSAPP] 3.3 데이터의 형식
  • 2021/06/22 [CSAPP] 3.2 프로그램의 인코딩(Program Encodings)
  • 2021/06/21 [CSAPP] 3. Machine-Level Representation of Programs ~ 3.1 A Historical Perspective
  • 2021/06/21 [CSAPP] 4.1 The Y86-64 Instructions Set Architecture
  • 2021/06/16 pipex 허용 함수 정리(모르는 것, 필요한 부분 위주로)
  • 2021/06/14 UNIX시스템의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개괄
  • 2021/06/11 pipex 관련 찾아본 자료
  • 2021/06/11 pipex 시작 전 메모
  • 2021/06/04 so_long 시작 전 톺아보기
  • 2021/06/03 [CSAPP] 2.3 정수의 산술연산
  • 2021/06/03 push_swap 진입 전 정리해보기
  • 2021/05/23 born2beroot 삽질의 흔적
  • 2021/05/21 Born2beroot(발번역)
  • 2021/05/16 ft_printf 구현 과제
  • 2021/05/08 read함수 stdin 커맨드라인 입력시 반응
  • 2021/05/05 2020.05.05(수)
  • 2021/04/07 [CLSR] 22.3 Depth-first search(DFS) (Ch 22. Elementary Graph Algorithms)
  • 2021/04/06 [CLSR] 10.2 Linked lists (Ch.10 Elementary Data Structures)
  • 2021/04/06 [CLSR] 10.1 Stacks and queues (Ch.10 Elementary Data Structures)
  • 2021/04/06 [CLSR] 22.2 Breadth-first search(BFS) (Ch 22. Elementary Graph Algorithms)
  • 2021/04/06 [CLSR] 22.1 Representations of graphs (Ch 22. Elementary Graph Algorithms)
  • 2021/04/05 [CLSR] 4.2 Strassen's algorithm for matrix multiplication(Ch 4. divide-and-conquer)(미완)
  • 2021/04/05 [CLSR] 4.1 maximum subarray problem(Ch 4. divide-and-conquer)
  • 2021/04/04 [CSAPP] 2.2 정수의 표시(Ch. 2 정보의 표현과 처리)
  • 2021/04/03 [CSAPP] 2.1 정보의 저장(Ch. 2 정보의 표현과 처리)